공식 집계 결과 사흘 내 발표…군부 제동 사실상 어려워
(서울=포커스뉴스) 태국에서 군부 주도로 만든 헌법 개정안에 대한 찬반을 묻는 국민투표가 7일(현지시간) 종료됐다고 태국 방콕포스트가 보도했다.
투표는 이날 오전 8시부터 오후 4시까지 진행됐다. 태국 유권자들은 투표를 통해 군부가 이끈 헌법초안위원회(CDC)에서 만든 헌법 개정안에 대한 찬반 여부와 하원의 총리 선출 과정에서 군부가 지명한 상원의원의 참여 허용 여부를 결정했다.
투표가 종료됐지만 집계 결과가 발표되기까지 결과 예측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태국 선거관리위원회가 출구조사를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공식 투표 결과는 적어도 사흘 내에 발표될 예정이다.
개정안은 태국 최고 군정기구인 국가평화질서회의(NCPO)가 5년 임기의 상원의원(총250명)을 직접 지명하고, 상원은 하원(총500명)에서 총리를 선출할 때 참여하는 것을 뼈대로 한다. 사실상 군이 상원을 통해 앞으로도 정치에 개입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은 것이다.
따라서 이번 투표 결과에 따라 태국 시민들이 군부 통치를 막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지만 주요 외신에 따르면 가능성은 희박하다.
영국 BBC는 태국의 국민투표 소식을 보도하면서 '흔들리는 민주주의'라고 표현했다. BBC는 "군부는 헌법 초안에 대한 홍보를 금지하고 투표를 진행했다. 많은 태국 시민들은 개정안이 무슨 내용인지 알지 못한다"고 보도했다.
이어 "투표가 가결되면 개정안에 따라 내년부터 민정이양을 위한 총선거를 실시하겠다고 약속했다"면서도 "(군부의) 헌법 초안은 (태국의) 민주주의를 불구로 만들 것이다. 군부는 향후 선출된 정부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전했다.
태국은 현재 군부 최고 지도자인 프라윳 찬 오차 총리가 국정운영을 맡고 있다. 2014년 5월 현 군부가 일으킨 쿠데타로 잉락 친나왓 전 총리가 물러난 것이다.
잉락 전 총리는 2011년 집권한 뒤 부패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은 친오빠 탁신 친나왓 전 총리의 사면을 추진하다가 반정부 시위를 초래했다. 한편 잉락 전 총리는 이날 투표장에 모습을 드러내 지지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투표에 참여했다.(방콕/태국=게티/포커스뉴스) 태국 시민들이 7일(현지시간) 열린 국민투표에 참가하기 위해 투표장을 확인하고 있다. 이날 태국에서는 군부 주도로 만들어진 헌법 개정안의 찬반을 묻는 국민투표가 실시됐다.2016.08.07 ⓒ게티이미지/이매진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