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 서지연 의원 5분 자유발언, ‘부산형 아이돌봄 완성을 위한 들락날락, 중간평가 필요’

부산 / 이용우 / 2024-08-27 22:47:37
◈ 아동이 살기좋은 도시 부산, 어린이 복합문화공간 조성사업에 대한 중간평가 필요시점
◈ 현재까지 총 96개소 약 1,028억원 예산으로 설치,
2030년 목표까지 향후 200여 곳이 추가설치, 약 2,700억원의 예산이 더 필요
◈ 대표적 사례(2)를 들며, 단순 유휴공간 활용으로 숫자를 채우는 방식으로 전락 우려
◈ ▲ 들락날락의 중간 평가와 목표 재조정 필요
▲ 테마가 아닌 돌봄의 영역에서 ‘특화형 들락날락’ 설치

 

[부산 세계타임즈=이용우 기자] 부산광역시의회 행정문화위원회 서지연 의원(비례대표, 무소속)은 27일(화) 제324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지금까지 설치된 들락날락의 제대로 된 중간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라 발언하였다.

 

 서지연 의원은 현재 부산시는 시장공약사항으로 어린이 복합문화공간 조성사업을 대규모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하며, 3,750억원이라는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2030년까지 300개소의 도서관, 영어학습 공간, 가족친화 공간을 마련한다는 목표를 말했다.
 

 따라서, 서 의원은 들락날락은 대부분 공공 유휴공간이나 노후시설을 활용해 현재까지 총 96개소가 약 1,028억 원의 예산으로 설치되었고, 2026년도 목표 절반 수치라고 말했다. 2030년 목표까지는 향후 200여 곳이 추가 설치되어야하며 약 2,700억 원의 예산이 더 필요하다고 계산해보였다.
 

 서 의원은 지금까지 설치된 들락날락 운영과 위치에 대한 평가, 그리고 향후 설치 방향에 대해 질문을 던졌다. 그러면서 들락날락의 제대로 된 중간평가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30년 300개소라는 숫자에 매몰되어 기계적으로 유휴부지나 공공기관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닌지 철저하고 객관적인 평가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서 서 의원은 2023년 3차로 선정된 한국신발관 내 들락날락은 기존 시니어클럽 일자리였던 카페테리아와 회의장을 없애고 들어섰으며, 장소주변은 고가도로가 지나다니고 아이들은커녕 일반 시민조차 접근이 드문 곳이라고 지적하였다.
 

 한국예탁결제원의 경우에도, 동구 범일동 1400번지 폐교된 좌성초등학교 부지를 매입해 교육연수원으로 활용하며 금융특화 들락날락을 조성하려는 취지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이에 서 의원은 들락날락의 중간 평가와 목표 재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까지 설치 현황과 예산에 대해 시민과 함께하는 철저한 중간평가를 주문하며, 들락날락의 이용률, 각 구군별 아동인구 대비 설치비율, 지역별 수요, 향후 도시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초기 목표가 현실과 맞는지 등을 검토 요청했다.
 

 무엇보다 서 의원은 테마가 아닌 돌봄의 영역에서 특수한 니즈를 반영한 ‘특화형 들락날락’ 설치를 촉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부산의 주요 상급병원 내 들락날락 설치를 제안하며, 암 경험자와 같이 중증질환을 알고 있는 젊은 부모나 형제자매가 있는 아동이 일정 시간 머물 수 있는 병원 내 들락날락 설치를 제안했다.
 

 끝으로 서지연 의원은 “부산시는 이미 아동친화도시로서의 첫걸음을 내디뎠다. 이제는 한 걸음 더 나아갈 때이다. 무조건적인 들락날락의 설치보다 면밀하고 섬세한 복지정책으로의 관점전환이 필요하다”고 재차 강조하며 발언을 마쳤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