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타임즈=진정화 기자] 국회에서 리박스쿨의 역사 교육 편향성과 공교육 침투 문제를 집중 조명한 공개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오후 2시,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는 ‘리박스쿨의 역사왜곡과 교육의 문제점’을 주제로 학계·시민단체·정치권 관계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열띤 논의가 펼쳐졌다.
황현필 소장, 리박스쿨 ‘정치 편향 교육’ 강도 높게 비판
발제자로 나선 황현필 역사바로잡기연구소 소장은 리박스쿨이 일제강점기와 분단기의 역사 교육을 특정 이념에 맞춰 왜곡하고 있으며, 정치적 메시지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교육의 중립성과 공공성을 훼손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역사는 기록이지 정치 도구가 아니다”라며, 검증되지 않은 강사가 주도하는 정치색 짙은 강의는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를 억압한다고 비판했다.
방과 후 교육 침투 의혹… 교사 자격증 악용 우려
리박스쿨 강사들이 교사 자격증을 이용해 늘봄학교 등 초·중등 방과 후 교육에 진입하려 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황 소장은 이 같은 시도가 공교육의 중립성을 훼손할 수 있다며 제도적 허점을 지적했다.
교육부·교육청 ‘불참’… 정부 의지 부족 비판도
이날 토론회에는 교육부 및 시도 교육청 관계자들이 참석하지 않아, 정부의 대응 의지 부족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시민단체와 학부모 단체들은 정부 차원의 실태조사와 학교 출입 금지 조치,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제도 개선 및 입법 필요성 제기
토론회 참석자들은 향후 과제로 ▲방과 후 교육 강사에 대한 검증 체계 강화, ▲공교육 연계 민간교육기관 규제 법안 마련, ▲교육 당국의 조사 및 시정 조치를 제시했다. 특히 국회 교육위원회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제도 개선과 입법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이번 토론회는 단순한 교육기관 비판을 넘어, 한국 역사교육의 객관성과 공공성 회복을 위한 중요한 계기로 평가된다.
국회가 논의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대응으로 이어갈 수 있을지, 정부와 교육당국이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할지 그 귀추가 주목된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