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확정

경북 / 한윤석 기자 / 2025-08-28 15:41:46
- 글로벌 철강 과잉공급, 미국 관세에 따른 지역 철강산업 위기대응 첫 사례 -
- 2년간 정책금융 지원,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지원사업 시행 -
[세계타임즈=경북 한윤석 기자] 경상북도 포항시가 28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2년간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었다.


이번 지정으로 도와 포항시, 철강업계는 지역 철강산업이 입은 피해 회복과 경쟁력 강화, 지역경제 침체 극복의 중요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포항시에 대한 지정은 글로벌 철강 과잉 공급과 미국의 관세 부과 등 최근 통상 이슈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지역 철강산업의 위기 대응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첫 번째 사례이자, 올해 전남 여수시 석유화학 지정에 이어 2번째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이다.

포항시는 1차 금속 제조업, 금속가공 제품 제조업이 제조업 부가가치의 70.3%*를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철강산업 도시이다.
* 2023년 광업제조업조사 기준, 포항시 제조업 부가가치는 10조 4,601억원, 1차금속 6조 8,913억원, 금속가공 4,642억원

포항 철강산업은 지속적인 중국산 저가 철강재의 국내 유입과 건설투자 장기 침체, 미국의 철강 관세 50% 부과 등 대내외 충격이 겹치면서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한 상황이다.

주요 철강기업 영업이익이 지난해보다 30% 이상 대폭 감소하면서, 2024년 7월 포스코 포항제철소 1 제강공장 폐쇄, 같은 해 12월 1선재공장 폐쇄에 이어, 올해 6월에는 현대제철 포항 2공장이 전면 휴업에 들어가는 등 지역 철강산업은 전례 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지역의 주된 산업이 현저히 악화하자, 주요 철강기업이 낸 법인지방소득세는 2022년 포항시의 지방세 총수입*의 29%, 967억원에 달했으나, 2024년 154억원으로 지방세 총수입의 13%로 급감하여 공공서비스 재원확보에 적신호가 켜졌다.
* 포항시 지방세 수입 2022년 5,122억원, 2024년 4,403억원

지역 철강기업의 경영악화는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이어져, 2025년 1분기 기준으로 포항시 중앙상가 공실률은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아 지역경제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

 

<전국 및 포항시 중앙상가 공실률>

2025.1분기 기준

 

구 분

전국 평균

포항시

소규모상가

7.28%

16.00%

중대형상가

13.21%

34.90%

집합상가

10.32%

39.08%

출처 : 한국부동산원

 

경북도와 포항시는 지역 철강산업 위기 극복 및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난 7월 18일 산업부에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신청했고, 산업부는 위기 상황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신속하게 대응했다.

산업부는 신청서 검토를 시작으로, 7월 30일 관계 부처 회의, 8월 5일 합동실사단 포항 현지 실사, 8월 14일 포항 철강기업 현장간담회 등 어느 때보다 속도를 내어 28일 경상북도 포항시를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했다.

지정기간은 2025년 8월 28일부터 2027년 8월 27일까지 2년 간이며, 긴급 경영 안정 자금 지원, 지방 투자 촉진 보조금 우대와 함께 대출 만기 연장, 상환유예 등 정책금융 지원을 강화한다.

또한, 이번 2차 정부 추가경정예산으로 신설된 지역산업 위기 대응 사업을 통해 산업 위기 지역 소재 주된 산업 관련 기업의 대출에 대한 부담을 낮춰주기 위한 이차보전*, 기업 경쟁력 강화 등을 위한 맞춤형지원(기업지원, 인력양성)을 추가로 지원할 예정이다.
*(대상)산업위기지역 중소·중견기업 자금 신규대출 (대출한도) 5억원 (이차보전율) 3%p

이차보전 취급 금융기관은 국민은행, 기업은행, 농협은행, 부산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이 선정(8.11. 산업부 공고)되었다. 맞춤형 지원은 위기 지역 내 수행기관을 선정하여 기업들의 수요를 받아 지원된다.

전담 기관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이며, 이와 관련한 구체적 사업 내용은 28일 산업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에 공고된다.

아울러, 철강산업 글로벌 경쟁력 회복을 위해 ▵저탄소, 스마트 혁신 ▵미래 신산업 전환 ▵철강산업 기반 강화를 목표로 연구개발, 경영자문, 고용안정 등 2026년 이후 지원사업 확보에도 빈틈없이 준비할 계획이다.

철강업계는 “이번 지정을 통해 지역 철강기업의 경영 안정과 경쟁력 강화 사업에 박차를 가할 수 있게 되었다”며 “철강산업이 전례없는 위기를 겪고 있는 만큼, 지원사업도 전례 없는 속도와 강도로 추진하여 현장이 그 효과를 빨리 체감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포항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을 크게 환영한다”며 “철강산업이 국가 경제 안보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단기적인 금융‧재정‧고용 지원에 더해 탄소저감, 에너지 효율화 등 산업경쟁력 강화의 핵심인 방안도 하루빨리 구체화해 추진할 수 있도록 정부, 포항시 등과 적극 협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