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승무원 조작 없었는데도 열차 후진…“공사 차량 결함 아냐”
- 이경숙 서울시의원 “차량 결함 근본적으로 해결할 방안 필요”
[서울 세계타임즈=이장성 기자] 국민의힘 이경숙 서울시의원(도봉1)이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열차 비상운전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2년부터 올해 7월까지 최근 3년간 총 다섯 차례의 열차 비상운전모드(EO모드) 취급 사례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EO모드는 열차의 주요 제어장치 고장 등으로 정상 운행이 불가능할 때, 기관사가 스위치를 조작해 최소한의 추진력을 확보하는 비상 안전장치다. 본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기능이지만, 차량 결함으로 인해 EO모드 작동이 반복되는 현실은 시민 불안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실제 사례를 보면, 2022년 6월 3호선 화정역에서는 주공기 압축기 고장으로 EO모드가 작동했고, 같은 해 9월 5호선 화곡역에서는 추진제어 불능 문제가 발생했다. 이어 2023년 2월 2호선 신도림역에서는 구원운전 계전기 불량, 2024년 6월 2호선 신촌역에서는 부품 노후화, 2025년 7월 8호선 동구릉역에서는 추진제어 불능이 원인으로 각각 EO모드 취급이 보고됐다. [※붙임1]
이 같은 사례들은 모두 차량 결함이나 부품 불량에서 비롯된 문제로, 단순한 돌발 상황이 아니라 반복적이고 구조적인 문제라는 점이 확인됐다. 공사가 사후 점검과 소프트웨어 개선에 나섰지만 결함은 계속 반복돼,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근본 원인이 차량 자체에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특히 지난 7월 20일 3호선 녹번역에서는 승무원이 EO모드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았음에도 EO모드가 비정상적으로 감지되면서 열차가 뒤로 밀리는 이례적 후진 사례가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비상제동이 체결되었으며, 공사는 차량 구조적 결함이 아니라 대청소 과정에서 청소수가 차량 하부 접속함으로 유입돼 발생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붙임2]
그러나 이 의원은 “결함 여부와 상관없이 시민 입장에서 열차가 후진한 사실 자체가 충격적”이라며 “특히 차량기지나 3호선과 같은 지상 구간에서 이런 현상이 발생한다면 탈선으로 이어져 대형사고로 번질 위험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같은 사례를 단순히 청소 문제로 축소하는 것은 더 큰 사고를 불러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또 “공사는 하루 수백만 시민이 이용하는 핵심 대중교통 기관인 만큼, 작은 이상도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임시방편이 아니라 차량 결함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실효성 있는 안전대책을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