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우선 품목별로 보면, 6월에는 15대 주력 수출품목 중 6개 품목 수출이 증가했다. 수출을 주도적으로 이끈 두 품목은 역시 반도체와 자동차다. 반도체 중에서도 고대역폭메모리(HBM)와 더블데이터레이트(DDR)5 등 고부가가치 메모리반도체 수출 호조로 전체적으로 11.6% 증가했고, 미국의 25% 관세 부과로 우려했던 자동차도 전기차와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선전으로 전년보다 오히려 2.3% 늘었다. 특히 최대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사상 최대실적인 149억 7,000만 달러(+11.6%↑)를 기록하면서 4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컴퓨터(SSD 포함) 수출은 15.2% 증가한 13억 3,000만 달러로 2개월 연속 증가했다. 데이터센터 등 인공지능(AI) 인프라, 스마트폰·노트북 등 AI 탑재 기기 확대로 반도체·컴퓨터 등 정보기술(IT) 품목 수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자동차 수출 역시 같은 달 기준 역대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하이브리드차, 전기차를 중심으로 6월 수출 규모가 63억 달러로 2.3% 증가했다. 자동차 부품 수출 역시 1개월 만에 플러스(+) 전환했다. 이 밖에도 선박 수출이 63.4% 증가한 25억 달러로 4개월 연속, 바이오헬스 수출이 36.5% 증가한 16억 6,000만 달러로 5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수출은 유가 하락 영향으로 각각 36억 2,000만 달러(-2%↓)와 33억 6,000만 달러(-15.5%↓)로 줄어들며 감소세를 보였다.
다음 지역별로 보면, 9개 주요 지역 중 양대 수출시장인 미국과 중국을 제외한 7개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했다. 대미(對美) 수출은 112억 4,000만 달러로 0.5% 감소했다. 반도체·석유제품·바이오 헬스 등 수출이 증가했지만, 관세 대상 품목인 자동차·철강 수출이 감소하면서 전년 대비 보합 수준을 기록한 것이다. 대중(對中) 수출은 반도체·일반 기계 등 수출이 감소하면서 104억 2,000만 달러를 기록해 2.7% 줄어들었다. 대(對) 아세안(ASEAN │ 동남아시아국가연합) 수출은 97억 6,000만 달러로 반도체·선박·철강 제품 호조세에 힘입어 2.1% 증가하며 한 달 만에 플러스(+)로 전환했다. 대(對) EU(유럽연합) 수출은 자동차·차부품·석유제품 등 수출이 증가하면서 14.7% 증가한 58억 달러로, 4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대(對)인도 수출은 2.3% 증가한 15억 9,0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역대 6월 중에서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대(對) CIS(독립국가연합) 수출은 18.5% 늘어난 11억 달러로 4개월 연속 증가세다. 대(對) 중남미 수출은 24억 달러(+3.3%↑), 대(對) 일본 수출은 25억 달러(+3.0%↑), 대(對) 중동 수출은 19억 달러(+14.8%↑)로 각각 플러스(+)로 전환했다. 9대 주요 지역 외에도 주요 반도체 수출국인 대만으로의 수출은 전년 대비 31.0% 증가한 43억 4,000만 달러로 역대 6월 중 최대실적을 기록했다.
한국은 무역 없이 생존할 수 없는 경제구조 체계를 지니고 있다. 그렇다고 인정하더라도 미국과 중국에 대한 무역의존도가 지나치게 높고 소수 품목의 수출 비중이 크다 보니 경제·안보 측면에서 취약하다는 것이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설명이다. KDI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전체 수출액 가운데 중국과 미국의 비중은 각각 19.5%, 18.7%를 차지했다. 2012년 대비 지난해 대미(對美) 수출 비중은 8%포인트, 대중 수입 비중은 6.6%포인트 늘었다. 특히 수출입 품목이 몇몇에 집중돼 문제는 더 심각하다. 대중(對中) 수입은 화학·석유제품·전자·반도체 등 핵심 산업의 공급망이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미·중 무역 갈등이나 지정학적 갈등 시 생산 중단과 같은 위험이 또 불거질 수 있다. 대미(對美) 무역흑자는 자동차·반도체·기계류 등 3개 품목에 집중돼 보호무역의 표적이 되기 쉽다.
설상가상(雪上加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 적자 규모가 큰 자동차·반도체 등 한국의 특정 품목을 관세 표적으로 삼으려 하고 있다. 또 중국 수입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2차전지 등 국내 제조업의 미래 산업 성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것도 문제다. 한국은 주요 수출국 가운데 보호무역주의 등 대외 환경 변화에 가장 취약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산업연구원 연구에 의하면 도널드 트럼프 보편관세로 인한 시나리오별 제조업 대미 수출 감소 효과는 -9.3%∼-13.1%에 달하고 개별 산업의 편차는 더욱 크게 추산된다. 시장규모효과와 수출국 간 대체효과를 합한 총 효과는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정부는 ‘관세 폭탄’과 같은 자극적 사안에 허둥대기보단 산업별로 상이한 영향과 기업별 대응전략을 냉철하게 분석하는 한편, 그에 대한 면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만 한다. 또 당면한 관세장벽을 우회하기 위한 공급망 다변화(多邊化) 및 현지화(現地化)를 가속화 해야만 한다. 기업 역시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초(超)격차 기술력을 확보하는 동시에 원가경쟁력과 재무건전성 강화에 매진해야 한다. 미·중의 무역의존도가 높을수록 우리 국내 경제는 외풍에 쉽게 흔들릴 수밖에 없음을 각별 유념해야만 한다. 이미 일부 제조업 분야는 중국산 수입 급증으로 노동시장마저 불안한 상황이다. 결국, 수출 지역 다변화(多邊化)와 수출품목의 다각화(多角化)는 더는 미룰 수 없는 국가적 과제이다. 그래야만 지속 가능한 성장과 경제안보를 확보할 수 있다. 정부로선 한미 관세 협상에 총력 대응하는 한편, 수출입 다변화(多邊化) 전략도 함께 밀어붙일 적기가 아닐 수 없다. 미·중 이외 국가들과 FTA 체결과 다자무역협정 가입 추진도 시급하다. 미·중 의존의 덫을 벗어나기 위한 전방위적 노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특히 무역 영토를 확장하려면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이 가장 효율적이다. 정부와 여당은 문재인 정부 당시 약속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에 대한 실천 계획을 서둘러 내놓고 한·일 FTA 체결 논의도 속도를 내야만 할 것이다.
특히 자원이 부족하고 내수 시장이 제한적인 우리 경제의 최대 성장 엔진은 무엇 무엇해도 오직 수출뿐 이다. 경제성장 여부가 사실상 수출 경쟁력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 경제가 ‘천수답(天水畓) 무역’ 구조에서 벗어나려면 민(民)·관(官)·정(政)이 수출시장 다변화(多邊化)와 수출품목 다각화(多角化)에 총력전을 펼쳐야만 한다. 정부는 통상 외교력을 총동원해 아세안(ASEAN), 인도, 중동, 중남미 등으로 신시장 개척과 공급망 다변화(多邊化)의 토대를 닦아야 할 것이다. 또 당면 과제인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전력을 다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수출 기업들에 대한 세제·금융 등의 지원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야만 한다. 또 반도체·자동차 등 주력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동시에 방산·원전·바이오 등 차세대 품목을 육성해 미래 수출 기반을 넓혀야만 한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 대해 조선 외에도 반도체·인공지능(AI) 등으로 미국과 산업 협력 분야를 넓히는 ‘윈윈(Win-win) 방안’을 패키지로 제시해 우리 수출 산업을 고도화(高度化)하는 지혜를 모으고 역량을 발휘해야만 한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