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세브란스병원, 복잡한 심장혈관 시술에서도 ‘스너프박스 접근법’ 안전성 입증

건강/생활정보 / 송민수 기자 / 2025-06-04 11:51:50
복잡한 심장혈관 시술서 ‘7프렌치’ 도관 스너프박스 접근법 효과 국내 최초 분석
통증‧합병증 최소화, 환자 빠른 회복 기대..고령자, 만성 신장질환자 치료의 대안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연구팀.(사진=용인세브란스병원)
[용인 세계타임즈 = 송민수 기자] 연세대학교 용인세브란스병원(병원장 김은경) 심장내과 연구팀은 복잡한 심장혈관 시술에서도 손등 부위 혈관을 이용한 ‘스너프박스 접근법’이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스너프박스 접근법은 손목을 통해 이뤄지던 기존의 심장혈관 시술과 달리 손등 부위의 원위 요골 혈관을 이용한 시술로, 시술 후 혈관 폐색 위험이 낮고 지혈이 쉬워 출혈 등 시술 부위 합병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손등 혈관은 직경이 작아 복잡한 시술에 필요한 굵은 기구 적용이 어려워 고난도 시술에는 거의 사용하지 못했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에 주로 활용하던 6프렌치 도관보다 직경은 더 크지만, 벽 구조는 얇은 7프렌치 도관을 활용한 복잡한 심장혈관 시술의 안전성을 분석했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노지웅‧이오현 교수(공동 제1저자), 김용철‧조덕규 교수(공동 교신저자) 연구팀은 2021년 8월부터 2024년 4월까지 용인세브란스병원에서 심장혈관시술을 받은 협심증 및 심근경색증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시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스너프박스 접근법을 통한 심장혈관 시술은 시술 난이도가 높고 합병증 위험이 큰 복잡 병변 환자를 포함한 참여 환자 100명 모두에서 성공적으로 이뤄졌으며, 손목 혈관 폐쇄와 같은 시술 부위의 중대한 합병증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시술 직후 혈관 내 영상 검사에서 손목 부위 혈관의 내막 손상이나 혈전 형성은 매우 드물게 나타났으며, 모든 환자가 손의 기능 저하 없이 빠르게 회복했다.

김용철 교수는 “이번 연구는 얇은 벽 구조의 7프렌치 도관을 이용한 스너프박스 접근법이 기존에는 어려웠던 복잡한 심장혈관 시술에도 안전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 국내 최초의 연구”라며 “심장혈관 시술 후 손목 혈관을 보존해 빠른 회복을 모색하는 방법으로서 의미가 크다”라고 말했다.

노지웅 교수는 "스너프박스 접근법은 시술 후 통증과 출혈 위험을 낮추고, 손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향후 혈관 재사용 가능성을 높이는 최적의 접근법"이라며 "특히 고령자나 만성 신장질환자 등 다리 동맥 접근이 어려운 환자에게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Scientific Reports’에 최근 게재됐다.

한편, 연구팀이 속한 용인세브란스병원 심장혈관센터는 24시간 365일 응급 심장혈관 시술이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스너프박스 접근법의 표준화를 선도하는 연구와 진료를 지속하고 있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