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발레의 매력! 한국 발레계 레전드 최태지 예술감독, 김용걸 교수가 들려주는 생생한 발레 이야기
7월 21일 <살롱 드 발레>, 해설이 있는 발레 원조 기획자 최태지 예술감독이 고희경 홍익대아트센터장과 합 맞춰
8월 28일 <내 삶 속의 발레들>, 한국 컨템포러리 발레를 개척해온 김용걸 교수가 한국예술종합학교 제자들과 함께 만든 무대
올해도 관객 곁으로 돌아온 부담 없이 즐기는 발레의 품격
작품 감상법과 해설로 발레와 한층 더 가까워지는 기회!
![]() |
▲ |
[마포문화재단=세계타임즈 이상호 기자] 마포문화재단(송제용 대표이사)은 오는 7월 21일과 8월 28일, 총 2회에 걸쳐 마포아트센터 아트홀맥에서 <2024 해설이 있는 발레>를 개최한다. 지난해 마티네 시리즈로 처음 선보인 <해설이 있는 발레> 는 마포아트센터 1,000석 대극장 평균 객석 점유율 80%을 보이며 발레와 친해지고 싶은 누구나 가볍게 볼 수 있는 공연으로 큰 호응을 받았다. 올해는 발레 대중화를 이끌어온 최태지 예술감독과 김용걸 교수가 다채로운 작품 시연과 함께 깊이 있는 해설로 마포아트센터 관객을 찾는다.
(왼쪽부터) M발레시리즈 2024해설이 있는 발레를 진행하는 최태지 예술감독, 김용걸 교수
7월 21일에는 국내 최초로 ‘해설이 있는 발레’를 선보인 원조 기획자 최태지 예술감독이 고희경 홍익대아트센터장과 함께 '살롱 드 발레(Salon de Ballet)'라는 주제로 고전발레의 걸작들을 한 무대에서 만날 수 있는 특별한 시간을 준비한다. 최태지 예술감독은 국립발레단 수석 무용수, 단장, 예술감독을 거치며 그의 지도 아래 국립발레단은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는 한국 발레의 대중화를 이끌어온 중요한 인물이다. 1997년부터 시작한 '해설이 있는 발레'를 통해 발레를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노력해 왔다.
2023 해설이 있는 발레 공연 장면
이번 공연에서는 최태지 예술감독과 고희경 센터장의 명품 해설과 함께 '탈리스만 파드되', '빈사의 백조', '파키타 솔로 바리에이션', '지젤 2막 파드되', '파드꺄트르', '돈키호테 그랑파드되' 까지 엄선한 클래식 발레 하이라이트를 무대 위에서 만나본다.
8월 28일에는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실기과 김용걸 교수가 관객을 창작발레의 세계로 인도한다. 김용걸 교수는 젊은 남성 무용수들에게 롤모델과 같은 인물이다. 대학을 졸업하자마자 국립발레단에 입단하여 주역으로 활동하였고, 1997년 모스크바 국제발레콩쿠르 3위, 1998년 파리 콩쿠르 파드되 부문 1위로 수상하며 한국인 최초로 파리오페라발레단에 입단해 솔리스트로 활약했다. 이후 2009년부터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실기과 교수로 재직하며 컨템퍼러리발레 안무가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그는 이번 무대에서 자신의 발레 여정을 돌아보며 풍부한 스토리와 아름다운 음악이 어우러진 다양한 작품들로 발레의 아름다움을 선보일 예정이다. 차이콥스키의 '호두까기 인형' 1막, '장미의 정', 현대 발레 듀엣 '회색빛 하늘', 컨템퍼러리 발레 듀엣 'Conscience (의식)',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을 기반으로 한 'Le Baiser (입맞춤)' 등 고전부터 창작 발레까지 다채로운 레퍼토리로 표현하는 그의 발레 여정을 기대해도 좋다.
전석 만원으로 부담 없이 즐기는 <2024 해설이 있는 발레>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마포문화재단 누리집(mfac.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