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자전거 등 배터리 관련 화재 잇따라… 경남소방본부, 충전 수칙 준수 및 대응요령 강조

경남 / 최성룡 기자 / 2025-10-21 11:09:43
-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등 배터리 관련 화재 지속 발생
- 충전 수칙 준수 및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요령 강조
- 온라인상 “가짜 배터리 소화기” 판매 확산에 따른 주의 당부
[세계타임즈=경남 최성룡 기자] 경상남도 소방본부(본부장 이동원)는 최근 전기자전거와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 및 보조배터리 사용이 늘면서, 리튬이온배터리 과열로 인한 화재가 잇따르고 있다며 도민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국가화재정보시스템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5년 6월) 경남 지역에서 발생한 배터리 관련 화재는 총 166건으로, 이 중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133건(80.1%)에 달해 대부분을 차지한 것으로 분석됐다. 

▲ 2024년 김해시 보조배터리 열폭주로 인한 화재 발생(보조배터리)
▲ 2024년 김해시 보조배터리 열폭주로 인한 화재 발생(발화지점)

리튬이온배터리는 충격이나 과충전, 고온 노출 시 내부 단락으로 인해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을 일으키며, 급격한 온도 상승과 함께 폭발적인 연소가 발생한다.

특히, 공동주택 등 실내에서 충전 중 화재가 발생하면 유독가스가 다량으로 발생하고 확산이 빠르기 때문에 초기 진화가 어렵고 인명피해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

소방본부는 도민들에게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예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충전 수칙을 반드시 지켜줄 것을 당부했다.
① 충전은 반드시 주위에 사람이 있는 상태에서 하고, 취침 또는 외출 중 충전은 피할 것② 배터리 충전기는 정품을 사용하고, 임의 개조나 불법 부품 사용을 금지할 것③ 장시간 사용 후 즉시 충전하지 말고, 발열 여부를 확인한 뒤 충전할 것④ 다세대 주택이나 밀폐 공간보다는 통풍이 원활한 장소에서 충전할 것

또한, 소방본부는 배터리 관련 화재는 일반 화재와 달리 폭발 위험이 크기 때문에 초기 대응 요령을 정확히 숙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① 화재 발생 즉시 119에 신고 할 것
② 배터리 내부에서 연속적인 폭발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전거리를 확보하고, 배터리 인근에는 접근을 절대 금지할 것③ 분말소화기는 초기 주변 화재확산 방지용으로만 사용할 것
- 분말소화기는 외부 불꽃을 일시적으로 진화할 수 있으나, 내부 열폭주는 계속되어 재발화 위험이 큼
- 불가피한 경우에는 일정 거리에서 사용한 뒤 즉시 대피해야 함

오성배 대응구조구급과장은 “최근 온라인 쇼핑몰과 SNS 등에서 ‘배터리 전용 소화기’ 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일부 제품은 공식 인증을 받지 않은 미인증 제품으로 실제 소화 성능이 검증되지 않았다”면서, “도민들께서는 반드시 인증 제품만 사용하고, 광고 문구에 속지 않도록 주의해 한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경상남도 소방본부는 앞으로도 배터리 관련 화재 예방 홍보와 안전수칙 교육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안전한 배터리 사용문화 확산에 앞장설 계획이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