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서울시 1인당 GRDP는 4,512만원, 전년보다 145만원 증가

서울 / 이장성 / 2022-01-13 08:11:47

[서울=세계타임즈 이장성 기자] 2019년 한 해 동안 서울시에서 생산한 모든 재화와 서비스를 시장가치로 평가한 지역내총생산(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는 435조9,270억원(전국의 22.6%)규모로 추계인구(966만2,041명)를 기준으로 1인당 GRDP는 4,512만원이며, 전국(3,727만원)대비 785만원 정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2019년 한 해 동안 경제활동 결과 자치구별 생산규모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서울특별시 지역내총생산(GRDP)」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본 보고서는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 홈페이지(http://data.seoul.go.kr)의 “서울통계간행물” 메뉴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2019년 서울의 경제성장률*은 2.6%로 전년도 성장률(3.6%)보다 –1.0%p 낮으며, 전국 경제성장률(2.2%)보다는 0.4%p높았다.

 

 
【연도별 전국 대비 경제성장률 추이(2015년기준 연쇄가격)】

 

 서울의 경제활동별 GRDP규모는 서비스업이 92.0%로 전년대비 0.1%p 증가하였으며, 제조업은 4.1%로 전년에 이어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대비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9.8%), 금융 및 보험업(6.4%) 등이 성장한 반면, 광업(-9.8%)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대비 부가가치 비중은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0.7%p), 사업서비스(0.6%p), 금융·보험업(0.5%p)에서 증가한 반면, 도·소매업(-0.8%p)과 제조업(0.8%p)은 감소하였다. 

 

​【연도별 주요 업종의 부가가치 비중 변화(당해년 기초가격)】 

※ 기초가격 : 생산물세와 수입세를 제외한 부가가치(※ 산업별 부과율이 달라 이를 제외)  

 

 2019년 서울시민 1인당 GRDP는 4,512만원으로 전년대비 145만원이 증가하였다. 이를 기준환율(1$=1,166.11원)로 평가한 1인당 GRDP는 3만8,691$로 전년대비 983$감소한 수준이다. 

 

【2019년도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규모(당해년가격)】

구 분

GRDP

(십억원)

추계인구*

()

1인당

GRDP(천원)

기준환율

(/1$)

1인당

GRDP($)

2018

423,742

9,704,546

43,664

1,100.58

39,674

2019

435,927

9,662,041

45,118

1,166.11

38,691

주) * 추계인구: 2019년 서울특별시 장래인구추계  

 

【연도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 추이(당해년가격)】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1인당 국내총생산(31,929$)에 비해서는 6,762$ 높은 수준이다. 

 

<참고> 한편, OECD에서 제공하고 있는 구매력평가 지수를 기반으로 계산한 세계주요도시 GDP(PPP)* 자료를

   보면 서울은 2018년 기준 43,935$로 스페인 바르셀로나와 비슷한 수준이며, 주요 도시별은 아래표와

   같다.

 

세계주요도시 GDP(PPP)

국가명

도시명

2016

2017

2018

2019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48,416

47,954

48,219

47,596

오스트리아

54,318

54,322

55,109

...

캐나다

토론토

45,748

45,975

46,000

...

스위스

제네바

79,716

81,430

...

...

체코

프라하

58,434

60,844

62,947

...

독일

베를린

43,433

44,426

45,245

...

덴마크

코펜하겐

60,235

61,836

62,898

63,702

스페인

마드리드

48,206

49,596

50,469

...

바르셀로나

42,254

43,625

44,562

...

프랑스

파리

67,528

69,284

69,768

...

영국

런던

65,971

66,059

66,470

67,293

헝가리

부다페스트

41,950

43,955

46,201

아일랜드

더블린

84,904

90,409

94,997

...

이탈리아

로마

49,756

49,865

49,938

...

일본

도쿄

49,097

...

...

...

대한민국

서울

39,681

41,483

43,953

...

룩셈부르크

룩셈부르크

107,217

106,484

107,729

108,069

스웨덴

스톡홀름

692,95

68,596

69,404

...

미국

뉴욕

825,74

84,026

86,968

88,669

로스엔젤레스

625,13

64,297

65,257

67,356

자료 출처 : OECD통계(https://stats.oecd.org/)홈페이지의 ”Regions and Cities > Metropolitan areas > Economy“ 메뉴에서 “GDP per capita(PPP)“선택

* GDP(PPP) : 구매력평가 지수를 기반으로 계산한 GDP, 각국의 통화단위로 산출된 GDP를 단순히 달러로 환산해 비교하지

 않고 각국의 물가수준을 함께 반영함,
※ 미국의 구매력을 기준으로 계산하므로, 미국은 한 시점에서 명목 GDP와 PPP GDP의 값이 일치함

 

구별 GRDP 규모는 강남구가 71조8,530억원으로 가장 크며, 중구(53조8,230억원), 서초구(35조5,700억원)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규모가 작은 구는 강북구로 3조2,836억원으로 나타나, 강남구는 강북구의 21.9배 수준이다.

 

【2019년도 자치구별 지역내총생산 규모(당해년가격)】 

 

 전년대비 성장률은 종로구(6.6%), 영등포구(5.6%), 중랑구(4.9%)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가장 성장률이 낮은 구는 강서구(-1.6%)로 나타났다. 종로구는 금융·보험업(27.9%), 보건·사회복지업(11.1%)에서 높은 성장을 보였으며, 영등포구는 건설업(29.8%), 금융·보험업(10.7%), 중랑구는 건설업(45.8%) 등의 성장에 따른 영향이다.  

 

【2019년도 구별 전년대비 성장률(기준년 연쇄가격)】

(단위 : %) 

 

 자치구별 1인당 GRDP규모는 중구(4억1,748만원), 종로구(2억1,870만원), 강남구(1억4,136만원)순으로 크며, 도봉구(1,044만원)가 가장 작았다. 1인당 GRDP는 주거인구가 적고, 사업체 밀집도가 높은 도심지역이 높게 나타나며, 소득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2019년도 구별 1인당 지역내총생산(당해년 가​격)】

(단위 : 천원) 

 

  권역별 GRDP 규모는 동남권이 147조원으로 서울시의 33.7%를 차지하고 있으며, 서남권(105조원), 도심권(100조원) 순으로 나타났다.

 

주) 도심권 : 중로, 중구, 용산
동북권 : 성동, 광진, 동대문, 중랑, 성북, 강북, 도봉, 노원
서북권 : 은평, 서대문, 마포
서남권 : 양천, 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동작, 관악
동남권 : 서초, 강남, 송파, 강동 

 

  권역별 성장률 추이를 보면 2013년 이전까지 서북권이 5%이상으로 나타났으며, 2017년은 서남권이 높은 성장률(7.7%)을 기록하였으며, 2019년은 동남권이 가장 높은 성장률(3.0%)을 보였다.

 

(단위 : %) 

 

 서울시 박종수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지역내총생산(GRDP) 통계는 자치구별 산업별 산출과 비용, 부가가치 등 생산구조를 분석하고, 변화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객관적인 근거로 특히 조세연구, 경제정책 수립 및 학술연구 등에 활용되고 있다. 향후에도 지역간 비교를 통한 경쟁력 연구, 해외 도시와의 비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세계타임즈 구독자 여러분 세계타임즈에서 운영하고 있는 세계타임즈몰 입니다.
※ 세계타임즈몰에서 소사장이 되어서 세계타임즈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합시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이 기사를 후원합니다.

※ 구독자 여러분의 후원과 구독이 세계타임즈 지면제작과 방송제작에 큰 도움이 됩니다

세계타임즈 후원 ARS 정기회원가입
1877-0362

세계타임즈 계좌후원 하나은행
132-910028-40404

후원하기
뉴스댓글 >

많이 본 기사

S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