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시민의 안녕과 번영을 위해 불철주야 노력하시는 김두겸 울산시장님과 관계공무원 여러분의 노고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행정자치위원회 부위원장 공진혁입니다.
요즘 우리는 지구가 온난화되고 기후가 변화함에 따라 예상치 못한 여러 재앙을 겪고 있다는 세계 각국의 소식을 심심치 않게 접하고 있습니다.
우리 의회에서도 그 심각성을 인식하고 정책적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다양하게 노력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위기대응 연구회’라는 의원연구단체가 구성되어 기후변화에 따른 문제점과 탄소중립 실천 등 대응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연구회뿐만 아니라 여러 의원님들께서 개별적으로 전문가들과 소통하고 연구하면서 다양하게 피해 해결방안을 고찰(考察)하고 있습니다.
최근 이상 기후에 따른 가뭄, 폭염, 풍수해, 대기오염 등으로 인해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비단 뉴스에서 보는 먼 나라 일이 아닙니다. 제주에서는 가을철 이상 기온상승으로 서귀포 마늘과 우도 땅콩 등의 피해가 잇따르고 있고, 강원도 양구에는 감자가 고온 다습한 토양에 썩어가고 있습니다. 원주에는 이상고온으로 과수나무 꽃이 일찍 핀 상태에서 갑자기 몰아친 꽃샘추위로 냉해를 입어 꽃이 모두 얼면서 누렇게 타들어가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 울산 농가에도 이상기온으로 인한 피해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울산의 연평균 기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서생, 온산, 온양지역 배 농가의 수확량이 급감하였고, 올해에는 갑작스러운 찬 공기가 몰아닥쳐 배가 여물지 못하고 있어 큰 피해가 예상됩니다.
생계를 위협받는 주민들은 우리 시의 적절한 지원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습니다.
여기에 본 의원은 우리 시에 한 가지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기후변화에 따라 피해를 받고 생계가 위태로운 우리 주민들을 위해 어떤 지원대책을 마련 중인지, 시급하게 추진해야 하는 피해 농가 지원 계획부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중장기 시나리오까지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농작물을 재배하는 것은 사람이 노력하는 만큼 결실을 얻을 수 없습니다. 기상과 기후가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피해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도 없습니다. 그러나 이미 발생한 피해 농가를 신속히 지원하여 주민들의 삶에 희망을 줄 수는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울산 세계타임즈=이호근 기자]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