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14~2023년만성부비동염연도별환자수 그림.(자료제공=분당제생병원) |
부비동은 코 주위 뼈 속에 위치한 공기가 차 있는 빈 공간을 말하고, 부비동염은 부비동 점막의 염증성 질환을 통칭한다. 이 질환은 증상의 지속 기간에 따라 급성 부비동염과 만성 부비동염으로 나뉘는데 급성 부비동염은 증상의 지속기간이 4주 이내인 경우를 말하고, 만성 부비동염은 염증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질환이다. 주요 증상으로는 코막힘, 누런 콧물, 후각 감퇴, 얼굴 통증, 기침 등이 있고, 심할 경우 중이염이나 천식과 같은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
![]() |
▲만성부비동염 연령별,성별환자수.(자료제공=분당제생병원) |
![]() |
▲2014~2023년만성부비동염 성별환자비율.(자료제공=분당제생병원) |
약물치료로도 부비동염이 호전되지 않거나 해부학적인 문제로 점액 배출이 어려운 경우, 또는 물혹이 있어 점액의 배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수술적인 치료를 한다.
부비동 내시경 수술은 염증과 물혹을 제거하고 부비동 입구를 넓게 열어 고여 있던 분비물을 배출해 막힌 공기길을 터 준다. 특히, 부비동염이 눈이나 뇌에 가까운 부위에 발생하면 눈과 뇌를 보호하고 두개저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밀한 수술이 요구된다. 이 때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큰 도움이 된다.
![]() |
▲분당제생병원 이비인후과 배미례과장 진료모습.(사진=분당제생병원) |
만성 부비동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알레르기 질환을 적절하게 조절하고, 담배연기나 먼지, 공해 등의 자극 물질은 피하고 실내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며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코막힘이나 코가 목 뒤로 넘어가는 후비루, 기침 등의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될 경우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상담해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 세계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